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3월, 2023의 게시물 표시

[공감교수법 수업 정리/0328] 정서와 교육

 정서와 교육 - 0328 정서와 학습의 원리를 통해 공감의 원리를 알 수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공감 수업의 원리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먼저 정서와 학습에 대해서 알아보자. a. b. - Mood와 정서는 긍정적인/부정적인 mood와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 - 긍정적인/부정적인 mood와 정서는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 긍정적인/부정적인 mood와 정서는 동기, mood 바꾸기, 과제의 적절성, 과제의 특성, 과제 달성 등의 매개 변수를 만들어 내고 이는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c. - Mood와 정서는 학습내용의 정서적 강도(학습 내용이 학습자로부터 강한 정서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 학습내용의 정서적 강도는 동기라는 매개 변수를 만들어 내고 이는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학습이론과 교수이론의 차이 - 학습이론: 기술적 접근(예: 학습동기가 높으면 학업성취도가 높아진다.) - 교수이론: 처방적 접근(예: 학업성취도가 낮다면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해 ~한 방법이 필요하다.) - 공감수업을 이야기할 때는 처방적으로 생각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Mood-congruence-hypothesis (mood 일치 효과) - 긍정적 정보는 긍정적 mood에서, 부정적 정보는 부정적 mood에서 쉽게 기억된다. - Semantic similarities: 비슷할수록 강한 연합.  Mood as information: mood도 정보와 같이 처리된다. - 긍정적 mood는 상황의 긍정적 특성에 대한 신호/부정적 mood는 상황의 부정적 특성에 대한 신호 - mood를 해석하고 그에 따라 행동함 Mood-dependent cognitive styles: mood에 의존하는 인지 - 긍정적 mood는 기쁘고 안전한 정보 제공 - 긍정적 환경은 개방적 사고(인지) 촉진, 총체적이고 창의적 사고 촉진 Mood는 주관적 관련성에 의해 중재 - 높은 개인적 관련성(중요성)을 가진 문제는 긍정적 mood에서도 부정적 정보에 대한 관심도나 처리가 높고 빨라짐 긍정적

[성찰일지] 나를 학습하게 하는 mood는 무엇일까

지난주에는 결국 해야할 분량의 공부를 다 하지 못했다.  바쁘다는 핑계도 있었지만 확실히 게을렀다. 지난주에 공부한 내용은 mood와 학습의 관계인데, 내가 지난주에 학습을 게을리 한 것에 대해 생각해보게 했다. 지난주 나의 감정은 부정적 감정이 긍정적 감정보다 높았던 것 같다.  신학기로 인해 바쁜 일이 계속되면서 몸을 챙길 겨를이 없었고 체력은 바닥을 치는 것 같았다. 결국 예정에 없던 연차를 써야했고, 병원 신세를 져야했다.  그러다보니 모든 것이 부담스러운 존재로 인식되면서 슬럼프에 빠졌던 것 같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의 특성상 학기 중에는 업무시간이 아닌 경우에도 학생들의 민원을 해결해주어야 하다 보니 내 일상이 뺏기는 것만 같았다. 박사 과정 공부 또한 내가 원해서 시작한 일이었지만 매일 학교를 가서 수업을 듣고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내가 지금 나의 인생을 주체적으로 끌고가지 못하고 끌려가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런 생각들이 꼬리를 물고 가다보니 무기력하게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는 나를 발견했다.  길목마다 벚꽃이 만개해 봄을 알렸지만 감상할 여유도, 행복을 느낄 긍정적 mood도 없었다. 내 안으로는 온통 부정적 mood가 가득했던 한 주였다. 결국 내가 가지고 있던 부정적 mood가 무기력한 정서를 만들어내고 학습을 게을리하게 된 게 아닐까. 나는 생각해보면 어릴때부터 긍정적인 mood에서 더욱 학습 능력을 잘 발휘했다. 가장 싫어하는 것 중에 하나가 경쟁적인 분위기에서 느끼게 되는 긴장과 초조, 불안감과 같은 정서라 중고등학생 시절 학원을 다니지 않았고 야간자율학습에서 느끼게 되는 선생님들의 이유없는 꾸지람과 불편한 감정이 싫어 야간자율학습에도 나가지 않았다. 대신 동네에 작은 공부방을 다녔는데, 공부방 선생님은 잘하지 않아도 열심히 하는 모습을 칭찬해주었고 내가 자신감을 가지고 긍정적 mood를 느낄 수 있도록 늘 응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덕분에 나는 공부하는 것을 꽤나 좋아하는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었다. 어쩌면 아직까지

THE ROLE OF EMOTION IN ENGAGEMENT, COPING, AND THE DEVELOPMENT OF MOTIVATIONAL RESILIENCE

THE ROLE OF EMOTION IN ENGAGEMENT, COPING, AND THE DEVELOPMENT OF MOTIVATIONAL RESILIENCE  Ellen Skinner, Jennifer Pitzer, and Heather Brule, Portland State University  참여, 대처, 동기 회복탄력성에서 감정의 역할 - 자기 결정 이론(SDT)과 동기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에 근거 - 동기 회복탄력성의 핵심은 힘든 학습에 초점을 맞춘 건설적인 에너지 수반 - 동기 회복탄력성 과정에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의 질과 강도뿐만 아니라 문제에 부딪혔을 때 참여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어떻게 반응하고 대처하는지,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유지하거나 회복할 수 있는 방법 포함 - 동기 회복탄력성에서 학생들의 감정의 역할에 초점 동기 부여 모델 - 책에서는 위 두개 모델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해하기 조금 어렵다..  수업 후에 재정리가 필요할 것 같다.  동기회복탄력성의 중심인 감정 - 감정은 동기 부여의 모든 구성 요소에 내재되어 있음

AFFECTION AND COGNITIVE PROCESSES IN EDUCATIONAL CONTEXT

AFFECTION AND COGNITIVE PROCESSES IN EDUCATIONAL CONTEXT Klaus Fiedler and Susanne Beier, University of Heideberg   정서와 인지 - 정서와 인지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조절과 동화 라는 두 가지 기본 적응 기능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조절과 동화 - 조절: 외부의 자극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내부의 조정 과정           자극 중심의 상향식 프로세스           재생산적, 보수적, 주어진 사실을 고수, 상향식 평가를 요구할 때           부정적 정서  - 동화: 외부 세계를 개인의 내부 구조에 맞게 조정하는 과정           지식 중심의 하향식 프로세스           생산적, 생성적, 창의적, 혁신적 해석을 요구할 때           긍정적 정서 - 조절과 동화는 모든 적응 행동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상호 보완적 기능 학습의 촉매제로서의 정서 상태 - 긍정적 상태와 부정적 상태 중 어느 것이 더 학습에 효과적인지는 학습 과제의 유형에 달려있음 - 보수적 자극 중심의 상향식 학습에는 부정적 정서가, 창의적 지식 중심의 하향식 학습에는 긍적적인 정서가 도움을 줄 수 있음 - 정서 상태는 학습의 동기를 부여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효과적인 수단 인지에 대한 기분(mood)과 관련된 경험적 증거(행동과 동기: 학습의 긍정과 부정 mood 영향) - 부정적인 mood: 정확성을 높이고, 신중하게 반응하며 실수를 감소시킴 - 긍정적인 mood: 창의적 해결책, 지식 기반 조직, 창의적 추론을 요구하는 작업에서 이점 기분(mood) 일치 효과 - 긍정적인 mood:  유쾌한 정보를 인식하고 암호화하고 학습하고 검색하고 추론하며 긍적적인 판단과 낙관적인 결정 - 부정적인 mood: 부정적인 자극 정보에 대해 긍정적 mood와 상대적으로 처리 - 예) 사람들이 기분이 좋을 때 스스로 생성한 단어가 더 잘 기억 - 교육환경에서 일치 효과는 자기효능감 판단과 성

[공감교수법 수업 정리/0321] EMOTION

3월 21일 공감교수법 수업 내용 정리 들어가며/ 생각해볼 문제 - 정서란? - 정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가? 그렇지 못했을 때 삶에 미치는 영향은? - 사고와 정서의 구분은 명확한가? 정서의 5 요소 - 예시) 시험불안의 정서 Subjective feeling: 두려움 Action tendency: 벗어나고 싶은, 회피 Appraisal: 실패할 것 같은 Motor activity: 안절부절 못하는, 다리를 떨다 Physiological: 땀이 나는, 심장박동이 뛰는  뇌과학적인 측면에서의 정서 - 사고는 working memory로 전두엽에서 일어나며 정서는 편도체에서 담당하는데, 이 두 기관은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인지를 통한 정서적인 문제는 정신적인 건강 뿐만 아니라 신체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Affect/Emotion/Feeling/Mood의 의미 -Affect: 비인지적 동기(Emotion, Feeling, Mood를 포괄하는 개념) - Emotion: 정서, 대상이 있음, 자동적 - Feeling: 의식적으로 경험하거나 인지한 감정 - Mood: 대상이 없으며 Emotion보다 지속성이 높음, 인지 할 수도 있고 못할 수도 있음 정서 이론 - Basic Emotions Theories: 유사한 종들은 기본적으로 유사한 정서를 가지고 있음 (폴에크만의 6가지 정서- 분노, 혐오, 두려움, 행복, 슬픔, 놀라움) - Appraisal Theories: 5가지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에 따라 감정 유발 - Psychological Constructionist Theories: 핵심적인 정서가 있어서 이들이 상황에 따라 정서들에 영향을 줌 - Nonlinear Dynamic Systems Theories: 특정 attractor를 중심으로 정서 발생 *정서를 어떤 이론에서 접근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인간의 정서는 복잡하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이 맞다고 할 수 없으며 코끼리를 앞, 뒤, 양,

[성찰일지] 이론에 대해 공부해야겠다.

감정의 개념과 구조-Shuman&Scherer 파트를 공부하다가 평가주의, 구성주의 등등의 이론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요약하기를 멈추었다.   무슨 내용의 글인지 이해하기 어려웠고 내 공부로 소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시 글을 읽어 나가기 전에 이론들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럴때 활용할 수 있는 건 챗GPT지! 1. 기본 감정 이론은 무엇인가?  기본 감정 이론은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 소수의 일차 감정이 존재한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감정들은 선천적이고 본능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다른 문화권에 걸쳐 유사한 방식으로 표현된다고 생각된다.  기본 감정 이론은 심리학자 폴 에크먼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는데, 그는 분노, 혐오, 두려움, 행복, 슬픔, 놀라움의 여섯 가지 기본 감정을 확인했다. 나중의 연구는 경멸, 당혹감, 자존심과 같은 추가적인 기본적인 감정들을 포함하도록 이 목록을 확장했다.  그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기본적인 감정들은 특정한 자극에 의해 촉발되고 뚜렷한 얼굴 표정, 신체 감각, 그리고 행동 반응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두려움은 인식된 위협에 의해 유발되고 빠른 심장 박동, 땀, 그리고 도망치고 싶은 충동과 관련이 있다.  일부 비평가들은 기본 감정 이론이 감정의 복잡한 본질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고 주장하지만, 많은 연구자들은 다른 문화와 종에 걸친 감정의 표현과 인식을 연구하기 위해 이 프레임워크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2. 평가 이론은 무엇인가?  감정 이론은 감정이 우리가 마주치는 사건과 상황에 대한 평가 또는 평가의 결과라고 제안한다. 즉, 우리는 사건에 단순히 반사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신념, 목표, 기대를 바탕으로 그것들을 평가하고, 그 결과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평가 이론은 우리의 평가가 위해나 이익의 정도, 통제 가능성이나 예측 불가능성의 정도, 새로움이나 친숙함의 정도와 같은 일련의 핵심 주제나 차원을 기반으로 한다고 제안한다. 서로 다른 감정은

2. 감정의 개념과 구조-Shuman&Scherer

  Vera Shuman 및 Klaus R. Scherer, 로잔 대학교 및 제네바 대학교 [요약] 1. 감정과 학습: 친구인가 적인가? - 감정은 적응적으로 진화하였다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감정과 학습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괴롭힘이 공포를 유발하고 교사의 커리큘럼이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때 위협적인 학생을 피하고 수업 자료를 탐색하는 행동 경향은 상당히 유용할 수 있다. 반면 시험과 같이 4,000년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상황으로 인해 감정에 의해 유발되는 진화된 행동 경향은 때때로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두려움을 피하려는 경향은 시험을 통화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 상황에서 우리에게 제시된 요구 사항이 과거의 생존 요구 사항과 얼마나 유사한지에 따라 감정이 학습에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다.  - 감정에 대한 문화적 관점에서 어떤 감정이 학습에 좋은지 나쁜지는 적절한 감정에 대한 현재의 사회적 개념과의 적합성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개인주의 문화(북미)에서는 개인적인 성취를 경험하고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이 개인의 성공을 보여주고 다른 사람들을 격려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다고 보지만 집단주의 문화(일본)에서는 개인을 특정하는 것이 집단의 화합을 방해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Markus&Kitayama, 1991). 2. 구성 에피소드로서의 감정 - 감정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감정을 다양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에피소드로 본다(Ekman, 1992; Russell, 2003; Scherer, 2009).  -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유발한 자극을 의식적으로 인식할 필요는 없지만, 자신이 무엇인가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은 감정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를 "사건 초점"이라고도 한다(Scherer, 2005).  - 교사는 특정 주제나 교육 활동에 열정을 느낄 수 있고 학생은 시험에 대해 불안할 수 있다. 감정의 대상에 대한

1. 교육에서의 감정이란-Pekrun&Garcia

  Reinhard Pekrun과 Lisa Linnenbrink-Garcia, 뮌헨대학교와 미시간 주립 대학교 [요약] 1. 교육에서 감정의 중요성 - 교실은 학생들이 삶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시간을 보내는 감성의 공간으로 이러한 교육 환경에서 다양한 감정들은 빈번하고 만연하며 다양하고 강렬하다.  - 감정은 교육 환경에서 경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와 개인적 성장을 위한 도구이기도 하다. - 교사는 지식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규율에 대한 열정과 학습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데에도 책임이 있으므로 감정의 중요성은 교사, 교장 및 관리자에게 똑같이 적용된다.   2. 교육에서의 감정의 개념 - 감정은 정서, 인지, 생리, 동기 및 표현 요소를 포함하는 다면적 현상이다(Kleinginna&Kleinginna, 1981).  - 교육에서 감정을 설명하는 두 가지 중요한 차원은 유인가와 활성화이다(Shuman&Schere, 2014). *유인가(valence):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지니고 있는 심리적 매력 또는 심리적으로 끄는 힘의 정도 - 정서 상태를 긍정적/부정적으로 분류하고 활성화/비활성화로 분류함으로써 감정 및 기분을 4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Linnenbrink, 2007;Pekrun, 2006). 3.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감정 - 전통적으로 교육에서의 감정에 대한 연구는 성취 감정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최근에는 성취감정, 인식적 감정, 주제감정, 사회적 감정, 이 4가지의 감정과 이밖에 부수적인 감정과 기분까지 주목하고 있다.    1) 성취감정: 교육에서 성취 감정은 공부, 시험 또는 학업 활동의 성공 및 실패 결과와 관련된 감정으로, 배우거나 가르치는 동안의 즐거움이나 지루함, 성공에 대한 희망과 자부심 또는 실패와 관련된 불안, 절망, 수치심 등과 같은 결과 관련 감정이다.   2) 인식적 감정: 감정은 작업 정보 및 정보 처리의 인지적 특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전형적인 사례는 놀라움과 호기심을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