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 감정의 개념과 구조-Shuman&Scherer

 Vera Shuman 및 Klaus R. Scherer, 로잔 대학교 및 제네바 대학교


[요약]

1. 감정과 학습: 친구인가 적인가?

- 감정은 적응적으로 진화하였다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감정과 학습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괴롭힘이 공포를 유발하고 교사의 커리큘럼이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때 위협적인 학생을 피하고 수업 자료를 탐색하는 행동 경향은 상당히 유용할 수 있다. 반면 시험과 같이 4,000년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상황으로 인해 감정에 의해 유발되는 진화된 행동 경향은 때때로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두려움을 피하려는 경향은 시험을 통화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 상황에서 우리에게 제시된 요구 사항이 과거의 생존 요구 사항과 얼마나 유사한지에 따라 감정이 학습에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다. 

- 감정에 대한 문화적 관점에서 어떤 감정이 학습에 좋은지 나쁜지는 적절한 감정에 대한 현재의 사회적 개념과의 적합성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개인주의 문화(북미)에서는 개인적인 성취를 경험하고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이 개인의 성공을 보여주고 다른 사람들을 격려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다고 보지만 집단주의 문화(일본)에서는 개인을 특정하는 것이 집단의 화합을 방해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Markus&Kitayama, 1991).


2. 구성 에피소드로서의 감정

- 감정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감정을 다양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에피소드로 본다(Ekman, 1992; Russell, 2003; Scherer, 2009). 

-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유발한 자극을 의식적으로 인식할 필요는 없지만, 자신이 무엇인가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은 감정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를 "사건 초점"이라고도 한다(Scherer, 2005). 

- 교사는 특정 주제나 교육 활동에 열정을 느낄 수 있고 학생은 시험에 대해 불안할 수 있다. 감정의 대상에 대한 개인의 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개인의 감정도 변화한다. 변화의 근원은 대상(교사가 시험을 더 쉽게 만든다), 개인(학생이 시험을 위해 공부한다), 개인과 대상 사이의 관계(학생이 수업을 그만둔다) 또는 습관화(학생이 시험에 익숙해지고 더 이상 시험에 화내지 않는다)이다. 

- 일상적인 공포 에피소드는 15분 미만, 분노와 기쁨 에피소드는 15~60분 동안 지속되므로 수명이 짧다. 감정 에피소드 지속 시간은 개인이 겪게 되는 에피소드의 감정이 강렬할수록 길며 상격과 상황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 


3. 감정 구성 요소

- 감정은 주관적 감정 구성 요소, 운동 구성 요소, 생리적 구성 요소, 행동 경향 구성 요소 및 평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있다.(Plutchik, 2001). 

감정 구성 요소의 예

- 감정 구성 요소는 다른 기능과 연결되어 있다. 주관적 느낌 요소는 모니터링 기능과 연관되는데, 두려움을 느끼면 개인은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규제 노력을 기울인다. 반면 시험 전에 두려움을 느끼는 학생이 시험을 준비할수록 두려움이 줄어든다는 것을 깨닫는 것과 같이 규제가 성공했다는 피드백을 준다. 

- 행동 경향은 주어진 상황에서 필요한 행동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준비되지 않은 시험을 앞두고 두려움을 느낄 때, 학생은 시험을 피하고 싶은 충동을 억누르고 대신 시험 공부를 통해 두려움을 극복함으로써 대처 능력을 높일 수 있다. 

- 평가 구성 요소는 의미 형성 기능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다른 학생에게 시험 전에 공부하는 것이 두려움을 줄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조언할 수 있다. 

- 운동 요소는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미소를 지음으로써 행복감을 표현할 때와 같은 의사소통 기능을 한다. 

- 생리학적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활동을 지원한다. 손과 팔의 혈류 증가는 화가 났을 때 신체가 활동할 준비를 하게 한다.                                                   

- 감정 구성 요소는 다양한 분석 수준에서 측정할 수 있다. 

- 감정 구성 요소는 다양한 측정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4. 다른 감정 현상과의 구별

- 기분은 관련 요소와 지속 시간에 관해 감정과 다른 경향이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명확하게 구별하기 어렵다.

- 특정 사회문화적 집단의 학생에 대한 편견과 같은 태도도 지속시간과 구성요소에서 정서와 차이가 있다. 

- 선호는 태도와 비슷한 방식으로 감정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프랑스어보다 스페인어를 배우는 것을 선호할 수 있지만, 특정한 선생님에 의해 제공되는 프랑스어 수업에 다소 흥분할 수 있다.

- 정서 성향(정서 특정)은 화나거나 불안하거나 우울하거나 호기심 많은 성격 특성과 같은 개인 간의 안정적인 차이이다(Spielberger&Reheiser, 2009). 


5.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이론적 관점들

- 감정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는 문제이다.

- 다양한 감정 요소들이 어떻게 함께 작용하여 감정을 이끌어내는지에 대해 더 자세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 

- 감정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여러 구성 요소를 가진 에피소드라는 데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하나, 다른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함께 매달려 감정을 형성하는지는 논란이 될 수 있다. 


6. 기본 감정 이론

- 다윈의 연구(1872/1998)에서 영감을 받아 많은 학자들이 기본 감정 이론의 존재를 제안

- 감정의 다른 구성 요소들이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 기본적인 감정은 인간의 진화를 통해 재발하는 생존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감정은 진화하여 발생한다. 


7. 평가 이론

- 감정은 평가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으로, 다른 감정적 요소의 변화는 평가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학생이 숙제가 너무 힘들고 시간이 너무 짧다고 평가하면 맥박이 뛰기 시작하고 땀이 나며 공포감이 발생한다. 

- 개인의 목표, 필요와 관련된 사건을 평가하는 것은 감정을 유발하는 데 핵심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나쁜 시험 점수로 인해 수업이 낙제되고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험이 더 이상 없다면 개인은 낙담하고 숨고 울고 싶은 충동을 갖게 될 것이다. 


8. 심리적 구성주의 이론

-  심리적 구성주의 감정 이론의 핵심은 핵심 감정의 개념이다. 핵심 감정은 항상 존재하며, 감정적인 에피소드의 구성요소이다. 

- 심리적 구성 이론은 감정에 대한 문화적 영향을 강조한다. 


9. 비선형 동적 시스템 이론

- 비선형 동적 시스템이론은 감정 구성 요소 간의 비선형 관계를 강조한다. 여기서 감정은 어트랙터 상태로 간주되는데 어트랙터 상태는 다른 감정 성분을 끌어당기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소는 감정, 평가, 그리고 생리적 변화가 "행복"의 상태를 띄게 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학생들이 어트랙터 상태에 도달하면 그 상태에서 호기심의 상태로 그들을 이동시키는 데 큰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반대로 학생들의 호기심이 일어나면 수업이 지루해지기 위해 수업에 느슨함이 필요할 수 있다. 

- 비선형 동적 시스템은 미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해 이전 상태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10. 감정 조절에 대한 시사점

-  교육적 환경과 같은 적용된 환경에서는 감정 조절 문제가 중심 관심사이다. 따라서 감정 조절을 위한 다양한 감정 이론의 의미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기본 감정 관점에서 감정 조절은 주로 개인이 노출되는 자극을 변경하거나 자동 행동 경향과 생리적 변화를 억제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 평가 이론은 평가가 감정 과정을 주도한다고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개인이 사건을 평가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이 감정적 경험을 바꾸는 핵심적인 것으로 본다. 사건이 평가되고 감정이 나타나면, 그 사건을 재평가함으로써 감정 조절이 일어날 수 있다.

- 심리적 구성주의 이론은 가치와 각정의 범주화를 통해 감정으로 이끄는 핵심 정서적 구성 요소로 간주한다. 따라서 핵심 감정과 구성된 감정 개념의 조절은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 비선형 동적 시스템 접근법은 모든 구성 요소가 나머지 구성 요소를 감정적 끌림 상태로 끌어들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따라서 규제는 모든 감정 요소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감교수법 수업 정리/0404] 공감의 이해

 공감의 이해 들어가며: 내가 생각하는 공감이란? - 내가 생각하는 공감: 타인을 이해하는 것이 머리(인지)에서 그치지 않고 마음(정서)으로 받아들여지는 것 메리 고든 '공감의 뿌리' - 아기를 감정의 극장으로 보고 학생들에게 아기를 관찰하게 함 - 다른 사람도 나와 똑같은 감정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음 . One caring adult - 에미워너 '키우아이의 아이들' -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 중 성공한 삶을 사는 학생들을 연구 - 공통점: 가까이서 무조건적 사랑과 공감을 제공하는 한 명의 성인이 존재 * 있는 그대로 수용해줄 수 있는 사람이 있을 때 성공할 수 있다. 공감 - 강한 감정으로의 연결 - 아들러: 타인의 눈으로 보고, 타인의 귀로 듣고, 다른 사람의 심장으로 듣기 - 칼 로저스: 타인의 내적 준거 틀을 정확성을 가지고 인지하되 마치 자신이 타인이 된 것처럼 정서적 요소와 의미를 가지고 인지하는 것. 하지만 완전히 동화되는 것은 아님(자신과 타인은 구별이 된다는 의식) - 쿠퍼: 다른 사람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상황을 느끼거나 지각하기, 상대의 요구 충족을 위한 방법을 찾으면서 상대의 상황 개선을 위한 건설적이면서 장기적인 태도를 취하려는 개인의 경향성 공감(empathy)과 동정(sympathy) - 공감은 타인과 동일시되지 않으면서 타인의 상황과 감정을 이해 - 동정은 타인에 대한 염려와 걱정이 앞서 정서 과잉 동일시가 나타나게 되어 이로 인해 타인의 경험으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지 못함 *학생을 동정하는 것과 공감하는 것의 차이는? - 학생의 상황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학생에 대해 알고 다가갈 때 공감이 이루어진다. 공감에 대한 관점: 인지적 요인 - 타인을 공감하기 이해서는 타임의 상황, 감정, 의도 등을 이해하는 인지 기능이 수반 - 조망 수용: 협의의 역할수용 개념, 자신의 관점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을 취하는 것 - 역할 수용: 타인의 역할을 취해보는 것으로 타인의 행동에서 역할과 개인...

1. 교육에서의 감정이란-Pekrun&Garcia

  Reinhard Pekrun과 Lisa Linnenbrink-Garcia, 뮌헨대학교와 미시간 주립 대학교 [요약] 1. 교육에서 감정의 중요성 - 교실은 학생들이 삶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시간을 보내는 감성의 공간으로 이러한 교육 환경에서 다양한 감정들은 빈번하고 만연하며 다양하고 강렬하다.  - 감정은 교육 환경에서 경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와 개인적 성장을 위한 도구이기도 하다. - 교사는 지식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규율에 대한 열정과 학습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데에도 책임이 있으므로 감정의 중요성은 교사, 교장 및 관리자에게 똑같이 적용된다.   2. 교육에서의 감정의 개념 - 감정은 정서, 인지, 생리, 동기 및 표현 요소를 포함하는 다면적 현상이다(Kleinginna&Kleinginna, 1981).  - 교육에서 감정을 설명하는 두 가지 중요한 차원은 유인가와 활성화이다(Shuman&Schere, 2014). *유인가(valence):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지니고 있는 심리적 매력 또는 심리적으로 끄는 힘의 정도 - 정서 상태를 긍정적/부정적으로 분류하고 활성화/비활성화로 분류함으로써 감정 및 기분을 4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Linnenbrink, 2007;Pekrun, 2006). 3.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감정 - 전통적으로 교육에서의 감정에 대한 연구는 성취 감정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최근에는 성취감정, 인식적 감정, 주제감정, 사회적 감정, 이 4가지의 감정과 이밖에 부수적인 감정과 기분까지 주목하고 있다.    1) 성취감정: 교육에서 성취 감정은 공부, 시험 또는 학업 활동의 성공 및 실패 결과와 관련된 감정으로, 배우거나 가르치는 동안의 즐거움이나 지루함, 성공에 대한 희망과 자부심 또는 실패와 관련된 불안, 절망, 수치심 등과 같은 결과 관련 감정이다.   2) 인식적 감정: 감정은 작업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