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공감 주기(empathy cycle)

 공감 주기(empathy cycle)


공감 주기의 도식적 개요

- Ex: 일차적인 표현과 탐색에 참여하는 사람
- Em: 응답, 공감하는 사람


공감의 순환 모델

- A: 상담사 또는 가족, 친구, 의사, 교사

- B: 상호작용하는 다른 사람

1단계: A는 어떤 식으로든 자신의 경험을 표현하는 B에게 (공감대를 형성하며) 적극적으로 주의를 기울임

2단계: A는 B의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B의 경험을 생생하게 알 수 있도록 이해하고 동조한다. 

3단계: A는 B의 경험에 대한 느낌 있는 인식의 질을 의사소통적인 방법으로 표현하거나 보여준다.

4단계: B는 A의 즉각적인 개인적 이해의 정도에 대한 감각이나 인식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A의 반응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5단계: 그런 다음 B는 두 가지 유형의 A에 대한 피드백 요소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가시적인 자기 표현을 계속하거나 재개한다. 한 가지 종류는 A의 방금 공유된 관점 또는 B의 느낌 경험에 대한 감각의 내용과 관련하여 확인하거나 수정하는 것이다(위의 3단계에서 표현됨). 다른 가능한 종류는 B가 일반적으로 A와 개인적인 이해의 관계를 인식하는 정도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공감 과정

phase 1: 공감적 경청, 울림(resonation), 개인적 이해의 내적 과정

phase 2: 의사소통 또는 (더 정확하게) 감정이입적 의사표현(의사소통은 보내고 받는 것 모두를 의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표현됨).

phase 3: 감정 이입, 공감하는 사람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감을 받음. (공감이라는 용어나 개념이 보고자에게 사용되지 않고 낯설거나 다양한 의미를 갖지만, 이는 종종 인식된 공감이라고 불린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감교수법 수업 정리/0404] 공감의 이해

 공감의 이해 들어가며: 내가 생각하는 공감이란? - 내가 생각하는 공감: 타인을 이해하는 것이 머리(인지)에서 그치지 않고 마음(정서)으로 받아들여지는 것 메리 고든 '공감의 뿌리' - 아기를 감정의 극장으로 보고 학생들에게 아기를 관찰하게 함 - 다른 사람도 나와 똑같은 감정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음 . One caring adult - 에미워너 '키우아이의 아이들' -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 중 성공한 삶을 사는 학생들을 연구 - 공통점: 가까이서 무조건적 사랑과 공감을 제공하는 한 명의 성인이 존재 * 있는 그대로 수용해줄 수 있는 사람이 있을 때 성공할 수 있다. 공감 - 강한 감정으로의 연결 - 아들러: 타인의 눈으로 보고, 타인의 귀로 듣고, 다른 사람의 심장으로 듣기 - 칼 로저스: 타인의 내적 준거 틀을 정확성을 가지고 인지하되 마치 자신이 타인이 된 것처럼 정서적 요소와 의미를 가지고 인지하는 것. 하지만 완전히 동화되는 것은 아님(자신과 타인은 구별이 된다는 의식) - 쿠퍼: 다른 사람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상황을 느끼거나 지각하기, 상대의 요구 충족을 위한 방법을 찾으면서 상대의 상황 개선을 위한 건설적이면서 장기적인 태도를 취하려는 개인의 경향성 공감(empathy)과 동정(sympathy) - 공감은 타인과 동일시되지 않으면서 타인의 상황과 감정을 이해 - 동정은 타인에 대한 염려와 걱정이 앞서 정서 과잉 동일시가 나타나게 되어 이로 인해 타인의 경험으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지 못함 *학생을 동정하는 것과 공감하는 것의 차이는? - 학생의 상황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학생에 대해 알고 다가갈 때 공감이 이루어진다. 공감에 대한 관점: 인지적 요인 - 타인을 공감하기 이해서는 타임의 상황, 감정, 의도 등을 이해하는 인지 기능이 수반 - 조망 수용: 협의의 역할수용 개념, 자신의 관점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을 취하는 것 - 역할 수용: 타인의 역할을 취해보는 것으로 타인의 행동에서 역할과 개인...

THE ROLE OF EMOTION IN ENGAGEMENT, COPING, AND THE DEVELOPMENT OF MOTIVATIONAL RESILIENCE

THE ROLE OF EMOTION IN ENGAGEMENT, COPING, AND THE DEVELOPMENT OF MOTIVATIONAL RESILIENCE  Ellen Skinner, Jennifer Pitzer, and Heather Brule, Portland State University  참여, 대처, 동기 회복탄력성에서 감정의 역할 - 자기 결정 이론(SDT)과 동기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에 근거 - 동기 회복탄력성의 핵심은 힘든 학습에 초점을 맞춘 건설적인 에너지 수반 - 동기 회복탄력성 과정에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의 질과 강도뿐만 아니라 문제에 부딪혔을 때 참여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어떻게 반응하고 대처하는지,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유지하거나 회복할 수 있는 방법 포함 - 동기 회복탄력성에서 학생들의 감정의 역할에 초점 동기 부여 모델 - 책에서는 위 두개 모델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해하기 조금 어렵다..  수업 후에 재정리가 필요할 것 같다.  동기회복탄력성의 중심인 감정 - 감정은 동기 부여의 모든 구성 요소에 내재되어 있음

2. 감정의 개념과 구조-Shuman&Scherer

  Vera Shuman 및 Klaus R. Scherer, 로잔 대학교 및 제네바 대학교 [요약] 1. 감정과 학습: 친구인가 적인가? - 감정은 적응적으로 진화하였다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감정과 학습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괴롭힘이 공포를 유발하고 교사의 커리큘럼이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때 위협적인 학생을 피하고 수업 자료를 탐색하는 행동 경향은 상당히 유용할 수 있다. 반면 시험과 같이 4,000년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상황으로 인해 감정에 의해 유발되는 진화된 행동 경향은 때때로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두려움을 피하려는 경향은 시험을 통화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 상황에서 우리에게 제시된 요구 사항이 과거의 생존 요구 사항과 얼마나 유사한지에 따라 감정이 학습에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다.  - 감정에 대한 문화적 관점에서 어떤 감정이 학습에 좋은지 나쁜지는 적절한 감정에 대한 현재의 사회적 개념과의 적합성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개인주의 문화(북미)에서는 개인적인 성취를 경험하고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이 개인의 성공을 보여주고 다른 사람들을 격려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다고 보지만 집단주의 문화(일본)에서는 개인을 특정하는 것이 집단의 화합을 방해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Markus&Kitayama, 1991). 2. 구성 에피소드로서의 감정 - 감정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감정을 다양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에피소드로 본다(Ekman, 1992; Russell, 2003; Scherer, 2009).  -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유발한 자극을 의식적으로 인식할 필요는 없지만, 자신이 무엇인가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은 감정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를 "사건 초점"이라고도 한다(Scherer, 2005).  - 교사는 특정 주제나 교육 활동에 열정을 느낄 수 있고 학생은 시험에 대해 불안할 수 있다.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