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교수법 수업 정리/0425] 공감과 교육
Initial characteristics
- 수용/개방
- 관심제공
- 경청
- 흥미갖기
- 긍정적/지지적 접근
- 열정
수용/개방
· 공감 관계 시작을 위한 필수적 요소
· 교사의 개방은 민감한 언어와 목소리 톤으로 학생들에게 반응함으로써 학생들이 말하고, 묻고, 학습하게 하고 대화와 이해를 촉진
· 개방은 학생들에 관해 많은 것을 배우게 함
· 학생들이 마음을 열 수 있는 시간을 주고 단계적으로 접근
· 수용은 학생들의 동기를 이해하기 위하여 판단과 비판을 연기하는 것
· 수용은 서로 편안한 감정을 들게 하는 것
관심
· 관심은 학생들의 참여, 소통, 학습을 극대화
· 모든 학생들은 개인적인 관심 필요
· 개인적 관심을 브레이크 시간이나 점심시간에 줄 수 있음
Q.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관심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
경청
· 공감적 교사는 개개 학생의 관점을 들음으로써 그들 존재 가치를 존중
· 학생들을 지지하고 이해하기 위한 듣기를 위해 시간을 할애
· 듣기는 학생들이 말하고 자신의 이해를 명확히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업전략
· 듣기는 학생들이 보다 개방적이게 함
· 개개 학생들에게 인내심을 가지고 시간을 주고 들으면 학생들은 개방을 함
· 듣는 교사는 보다 동등한 관계를 형성
· 동등한 관계에서의 담화는 개인적 학문적 내용을 다룰 수 있음
· 학생들 역시 경청을 모델링하여 학습이나 경청 능력이 길러짐
· 하지만 대규모 수업에서 듣기는 매우 어려운 작업
흥미 갖기
· 흥미를 보여주는 것은 학생들 자신이 중요하고 가치 있는 존재라고 느끼게 함
· 학생들의 학교 활동 뿐만 아니라 사적 세계와 가정에도 흥미를 갖는 것이 중요
· 개인적 흥미를 학습에 반영하게 하면 학습에 효율성도 높아짐
· 학생들에게 긍정적 정서를 만들어 줌
Q. 학습자 개인적 흥미를 학습에 반영하는 방법은?
긍정적/지지적 접근
· 긍정적 접근은 듣기와 흥미 갖기와 연결
· 직접적 칭찬이 긍정적 접근의 한 방법
· 노력과 성취 인지를 통해 가능: 가정통신을 통해 부모에게 인지시키기
· 개인적 가치화: 학문적이 아닌 개인적으로 지지하라/지지를 위해서는 개인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라
· 모델링과 지지적 감정 전이: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다른 학생들에게도 전이, 전체 학급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만듦
· 안전한 분위기 조성과 위험 감수: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가 형성되면 학생들은 안전함을 느끼고 새롭거나 모르는 내용을 공부할 때 위험을 감수/안전하면 자신이 할 수 없거나 모른다는 말을 하게 됨/ 문제를 수용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찾고 다른 사람을 지지함/ 웃음이나 유머가 긍정적 분위기에 도움
열정
· 교사는 학습주제와 관계 모두에 대한 열정이 필요함
· 열정은 전염되기 쉬움
Q. 학생들에게 열정을 전달하는 방법은?
Means of communication
- 얼굴표정/상호작용
- 몸짓, 몸 언어, 움직임
- 높이/거리
- 언어와 목소리 톤
얼굴표정/상호작용
· 명확한 얼굴 표정, 눈 맞춤, 웃음, 지지적이고 긍정적 소통
· 이런 소통은 집중과 이해를 촉진
Q. 교사는 수업 중 자신의 얼굴표정을 정확히 인지하는가?
몸짓/몸 언어/움직임
· 적극적인 몸 동작: 열정 전달
· 몸 동작: 권위성vs관심과 존중 표현
· 너무 많은 몸 동작: 주의분산/자신감 저하로 표현
높이/거리
· 물리적 거리가 가까워지면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지고 보살핌과 공유를 촉진함
· 앞으로 기울여 듣기는 관심 표명을 의미
· 높이: 위협vs동등성
· 소집단 활동할 때 가까이 가서 소통하는 것이 효과적
· 때로는 수줍어하는 아이들에게는 부적절할 수 있음
언어/목소리 톤
· 학생들의 언어로 말하기
· 학생들에게 맞는 적절한 수준의 언어
· 학생들의 style of language
· 조용한 아이들에게는 조용한 접근/미러링 필요
Q. 학생들의 말?
1. Positive emotion and interactions 개발
- 기쁨, 행복, 재미와 유머
- 좋아함, 사랑, 선함
- 부정정서 은폐하기
- 상호존중
- 시간 주기
- 단독의 관심
- 육체적 접촉
- 이완/편안함/비공식적 분위기
기쁨, 행복, 재미와 유머
· 학생들 입장에서 무엇이 어렵고, 즐겁고, 겁먹게 하는지를 파악
· 게임식 수업이 학생들을 동기화, 협력, 사회적 기술 발달, 공유, 찰계 지키기 등을 배우게 함
Q. 즐겁고 행복한 수업?
좋아함, 사랑, 선함 보기
· 학생들은 수업에서 즐겁고 행복하면 교사를 좋아하고 학습에 효과적
· 좋아함은 존경과 신뢰와 연결
· 좋아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요구와 감정에 민감함
· 따뜻함은 보살핌, 소통, 가치둠과 연결되고 학문적 발달과도 연결됨/학교 풍토와도 연결됨
부정정서 은폐하기
· 모든 학생들에게 긍정적 정서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필요시에는 실제 감정을 숨기고 흥미가 없어도 흥미가 있는 듯 행동하기
· 걱정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기
· 실제 감정과 달라도 칭찬하기
상호존중
· 학생들에게 가치를 두고 존중하는 것이 존중받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임
· 존중은 좋아함과 신뢰와 연결되어 있음
시간주기
· 긍정적 개인적 상호작용은 개인적 시간의 질을 필요로 함
· 시간을 투자하고 개방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
· 시간은 보살핌의 의미,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는다고 느낌, 동등한 관계를 형성하고 깊은 이해 촉진
· 시간은 관심이고 가치이기 때문에 자신들이 버려져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음
· 아침 읽기 시간에 개인적 시간 갖기
단독 관심
· 학생 개인에 대한 단독의 관심은 자신들이 중요하고 가치로운 존재라는 것으로 느끼게 함
Q. 방법은?
육체적 접촉
· 육체적 접촉은 기쁨과 슬픔을 공유하고 존중감을 증진하는데 영향을 줌
· 특히 어린 아이들일수록 영향이 큼
Q. 주의사항?
이완/편안함/비공식적 분위기
· 이완적이고 비공식적인 분위기가 소통과 개방을 촉진하여 서로의 이해를 도움
· 농담, 개인적 이야기, 비학문적 대화 등이 도움이 됨
· 이완적 태도는 전염성이 있고 라포를 형성하게 함
· 이완적 분위기가 모든 것이 허용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서로의 존중을 기초로 해야 함
2. 나와 타인 이해/이해 설명하기
- 자기지식
- 나 자신이 되기, 인감됨
- 안(의식 구조)으로 들어가기
- 이해/깊은 지식
- 이유 설명
자기지식
· 공감자는 자신에 대해 행복감을 느끼고 자기 훈육적이며 자신의 강점과 단점을 잘 알고 있음
· 자신과 학생들에 대한 지식의 조합은 교수와 학습 전략에서 좋은 정서적이면서 학문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함
· 자신을 고정적 존재가 아닌 적응적 존재로 봄
· 자신을 잘 알면 학생들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를 자신의 어린시절 지식에 근거하여 관점 취하기가 이루어질 수 있음
나 자신되기, 인간됨
· 학교 밖 삶과 학교에서의 삶에 대한 자신을 사랑하고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사람이 학생들도 하나의 인간으로서 상호 수용이 가능해짐
· 자신도 불완전하고 직관적인 사람이라는 것을 인정
· 학생들에게 한 사람드로서의 사회적 역사적 개인적 삶을 공개
· 개인적 이야기를 공유하면 학생들은 자신들이 어른이 된 것처럼 느낄 수 있음
· 공감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태도를 보여주고 당신이 그들을 가치 있게 여긴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임
· 교실에서 교사로서 공식적인 입장과 공감적이고 인간적 역할을 하는 것을 지혜롭게 바꿀 필요가 있고 개인을 대할 때에는 인간적 모습으로 대하는 것이 필요
안(의식구조)으로 들어가기
· 학생들의 의식구조(사고방시: mindset) 안으로 들어갈 필요가 있음
· 학생들의 실제 감정, 태도, 무엇이 움직이게 하는지를 안으로 들어가 볼 필요가 있음
· 학생들이 이완(긴장완화)되었을 때 개발적이고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보게 함
· 학급 분위기를 알기 위해서는 학생이 되어 그 자리에 앉아보기
이해/깊은 지식
· 학생들의 학문적 사회적 측면에 대한 지식이 필요함
· 압박이 심할 때 학생들에게 여유를 줄 수 있어야 함
· 개인 대 개인의 지지가 높은 수준의 이해와 교수를 촉진(부버의 인격적 만남)
· 다양한 사람들로부터 다양한 정보 수집 필요. 학부모, 친구, 튜터, 학교상담가 등
이유 설명
· 학생들에게 그들의 행동 이유에 대해 설명하게 하기, 이런 질문은 학생들이 생각하게 함
· 이러한 질문은 학생들을 이해하려 하고 관심을 가지고 보살피려 한다는 인상을 줌
· 학생들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사과를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들의 잘못된 행동을 이해하고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함
· 학문적 설명조차도 공감이 필요하며 개인차에 근거하여 접근하여야 함. 다른 사람들에게는 다른 형태의 설명 필요
3. 모든 관계에 가치두기
- 관계의 중요성
- 직원과의 관계
- 교사· 부모와의 관계
- 동료 관계 이해
- 환경/자원/넓은 관계
관계의 중요성
·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좋은 수업과 연결되고 학습의 핵심적 요소임
· 수업이 학생들에게 흥미롭고 적절하게 하는 것은 관계에 기초
· 좋은 관계는 학교를 안전하고 긍정적인 공간으로 만듦
직원과의 관계
· 직원들과의 관계가 좋으면 학생들과의 관계도 좋아짐
Q. 문화적 차이?
교사/부모 관계
· 교사와 학부모와 관계 질이 학생들의 학습을 증진시킴
· 교사와 부모와 관계는 함께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동료 관계 이해
· 학생들은 동료들과의 관계가 매우 강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친구들 관계에 대한 민감한 이해가 필요
환경/자원/넓은 관계
· 잘 관리된 건물이나 자원이 학생들에게 자신들이 보살핌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게 함
· 학생들 작품을 전시하는 것이 자긍심과 동기 유발
· 비교과활동을 통한 만남/일상적 삶에서의 만남이 가족과 같은 관계 형성과 넓은 이해 촉진
4. 공감의 넓이와 깊이
- 모든 학생
- 개인 보기
- 요구 충족
- 차이
모든 학생
· 모든 학생들을 이해하고 좋은 관계를 맺으려 함
· 교사에 따라 어떤 학생들은 쉽게 혹은 어렵게 공감하게 됨
· 대체로 10대 여자아이들은 냉담하고 거만함(공감의 어려움)
· 낮은 성취도를 보이는 남학생들은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거칠게 대함
개인 보기
· 공감적이기 위해서는 개인에게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교사와는 다른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 이해
· 개인적 접근 필요
요구 충족
· 공감은 개인적 요구를 충족할 필요가 있음
· 개인들은 다른 요구와 다른 태도를 가지고 있음
· 다른 교사들과 정보와 전략을 공유하고 바른 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함
· 교사는 학생들을 학문적으로 평가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 동기적인 평가를 통해 유연하게 반응하여야 함
차이
· 학생들의 차이에 따라 자신과 수업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음
· 학생들의 역량에 기초한 평가 필요
5. 행동과 책임지기
- 해결책 찾기
- 지속성과 자기희생
- 보호
- 보다 깊게 지각하기
해결책 찾기
· 공감하기란 학생들의 학습을 진지하게 성찰하고 개선된 해결책을 찾는 것
· 학생들이 성장하고 학습하도록 함
지속성/자기희생
· 공감은 학생들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는 것과 자기희생을 포함
보호
· 공감은 체제로부터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는 것
· 잘 이해하지 못하는 교사로부터의 보호도 포함(담임교사가 타교사에 대한 보호)
보다 깊게 지각
· 깊은 공감은 신호를 감지하고 표면 아래에 있는 것을 보고 반응하는 것 포함
· 보다 주의 깊게 보고 듣는 작업, 비언어적 사인을 파악하는 작업 포함
6. 자신과 타인에 대한 적응적/통합적 개념
- 개인과 환경에 적응
- 높은 궁극적 기대
- 개인적/학문적 연계
- 총체적 시각
- 연결하기
개인과 환경에 적응
· 다른 학생들에게는 다른 역할을 하는 매우 적응적 접근
· 학생들 특성, 스타일, 언어, 성격, 맥락 등에 따라 다르게 반응
높은 궁극적인 기대
· 학생들의 실제 수준에 맞는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음
· 학생들의 성취에 고정적 관점이 아닌 계속 성장하는 과정적 관점을 가지고 있음
개인적/학문적 연계
· 수업에서 개인적(가정적) 학문적 연계가 서로 뒤섞여 있으며 서로를 촉진시킴
· 개인적 관심사를 학문적 이슈로 연결
· 가정에서의 삶, 문화와 역사가 학급에서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줌
총체적 시각
· 공감적 교사는 학생을 전 존재로 반응
· 학생의 과거, 현재, 미래의 전체가 이해되어야 함
연결하기
· 공감적 교사는 다른 관점들 간의 교량 역할을 함
· 문화와 언어 차원에서 학부모와 학교 간 교량 역할을 함
·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 교량 역할
7. 도덕적 측면
- 도덕성의 개념
- 도덕/공감적 연결과 상호작용 과정
- 도덕성 모델링
도덕성의 개념
· 남들을 대하는데 있어서 자기중심적이지 않고, 보살펴주고, 친절하고, 기뻐하기/타인뿐만 아니라 자신의 개인적 발전에도 영향
· 존중, 판단 안하기, 차이에 가치두기, 인종/성/다른 관점에 허용적, 경청하기 등
· 공감은 정서적 연결을 위해 소통에 있어서 정직을 필요로 함
도덕/공감적 연결
· 도덕적 발단은 긍정적 관계를 통해 발생하며 그 양방향 과정이 공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
· 심도 있는 공감, 도덕성, 정직성은 사람 간 보살핌과 신뢰를 만드는 것과 연결되어 있음
도덕성 모델링
· 도덕적 풍토: 일반적 풍토가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미침, 전체 학교의 도덕적 풍토가 중요하고 교사는 수업풍토를 만들어야 함
· 공유: 공유하는 작업은 타인의 관점, 강점, 약점을 보게 하고 돕는 행동을 발전시킴
· 다중 도덕적 모델: 교사가 흥분한 친구들을 대할 때 목소리 톤과 신체언어에서 보여주는 감정적 민감성을 모델링함
1. 집단 공감과 전체 학급 관계
- 전체 학급에 공감하기
- 집단적 감정을 공유하기
- 집단 공감이란 학생들 전체 집단에 대한 풍부한 사회적, 정서적, 학문적 이해를 의미
2. 집단에서 타인 관점 취하기를 격려하기
- 경계 설정하기, 법칙, 규칙
- 관제(control)
- 훈육
- 공정성
- 매너
- 공감 구조
경계 설정과 법칙, 규칙
· 집단 공감을 위해서는 집단의 기초적 법칙 수립, 배려 행동 지지에 대한 동의, 집단이 다르게 행동한다는 것의 인지 등을 포함
· 분명한 경계가 수립되면 교사와 학생 간 편안한 분위기
· 도덕적 행동을 지지하거나 학교의 안전을 위해 법칙 필요
· 법칙은 가치 내포
· 법칙은 고정되어 있기보다 지속적으로 설명되어야하며 다른 맥락에 적응되어야 함
· 법칙의 성공은 합리성과 좋은 관계에 따라 달라짐
· 학교 내 일관성도 중요
관제
· 집단이 클수록 안전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관제의 실천 필요
· 잘 설계된 환경에서 학생들은 주인의식과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자율성을 느낌
훈육
· 공감은 공정하고 합리적인 훈육을 가능하게 함
공정성
· 공정성은 관계에서의 정직성과 직결
· 공정성은 교사에 대한 신뢰, 존중, 좋아함으로 연결되고 결국 교육의 높은 질로 연결
· 공정성은 학생들에 대한 선입견, 벌 주기 전에 적절한 경고를 주는 것, 한 학생 때문에 모든 학생들에게 벌을 주는 것 등을 의미하지 않음
매너
· 기본적인 정중함은 다른 사람의 관점과 요구를 고려하는 것
· 교사는 좋은 매너의 모델이 되어야 함
· 보살핌, 친절함, 친밀함, 상호 존중 등 강조
· 때로는 학생들에게 좋은 매너에 대한 설명을 학생들에게 해야 함
공감적 구조와 체제
· 학교 위원회나 circle time 과 같은 학생들의 견해가 존중받고 공감을 촉진할 수 있는 어떤 구조가 필요
· 신뢰롭고 학생들 친화적 체제가 학급에서 행복하고 배려의 환경을 만들게 됨
3. 정신적 집단화
- 아이들 유형
- 문화적 차이
- 집단에 따라 달리 가르치기
- 성
아이들 유형
· 특별한 요구를 가진 아이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문제점을 찾아 맞춤식 접근 필요
· 특별한 요구를 가진 아이들의 흥미를 파악하고 비교과 형태의 접근 필요
· 기관차원의 공감제거: 시험결과나 성취에 대한 과도한 강조는 어떤 아이들에게는 부정적 메시지를 주고 공감적 접근을 어렵게 함
문화적 차이
· 다른 문화는 다른 유형의 언어를 사용하게 하고 이로 인해 공감적 접근을 어렵게 함
· 우리나라 학교에서 다른 문화집단이 존재하는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집단 차이?
집단에 따라 달리 가르치기
· 학생들 마다 성취도, 사회정서적 발달 차이가 있기 때문에 차별화된 교수 기법 필요
· 진도의 차이나 교재의 차이 수업방법의 차이 등 필요
· 공감을 촉진하는 교수법으로는 역할극, 드라마, 토론, 집단 활동 등이 있음
성
· 남자와 여자 아이들에 대한 남자교사와 여자교사의 접근에서 공감적 접근의 어려움
· 복도, 수업시간 외 활동을 통해 관계 수립 필요
공감의 효과 |
교수와 학습
· 학습을 최적화
· 학생들의 사고와 정서에 대한 이해는 최적화된 학습 촉진전략 개발에 도움
· 학습자의 흥미에 맞는 수업내용 채용에 따라 동기유발과 학습성과 보장
· 심화된 공감->가치와 지지 인지->참여와 자긍심 증진->개방->학습/성취도 증진/타인을 가치 있게 인식 증진
· 교사에 대한 사랑이 교과에 대한 사랑으로 연결
· 공감은 교수활동을 쉽게 하고 기쁘고 효과적으로 만들어줌
교수법
· 학습자에 따른 다른 목소리, 시각자료, 공간 및 촉각적 접근을 통한 차별화된 멀티미디어 접근 실시
· 보다 창의적이고 모험적, 강한 관계로 인해 안전감을 가지고 있어서 시도 가능
· 자신의 장단점을 잘 알고 있어 이를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함
· 학생들 집단 구성이나 동기화 전략 등에서 효과적인 방법 찾음
평가
· 지속적인 형성평가를 통해 구체적이고 정확한 평가
· 무엇이 학생들을 동기화하고 어떤 노력을 하게 하며, 어떤 기쁨이나 불안을 가지고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얻게 함
· 공감은 학생들의 실제 성취도나 실제 문제를 발견하게 함
·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장기적 관점을 가지고 학생들의 잠재력에 초점을 둠
· 상대평가가 아닌 자신의 성장에 초점을 둔 평가
· 학생들의 옷, 바디랭귀지, 목소리 톤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한 평가
· 개별화된 평가
풍토/맥락
· 공감은 긍정적이고 편안한 학습 풍토 조성
· 공감은 가치, 관심, 보살핌 등에 대한 정보 제공, 강력한 잠재적 교육과정 역할
· 좋은 공감적 풍토는 학생들이 긍정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급 경영이나 학생들의 집중유도나 행동 수정 등에 대한 시간 투자를 줄여줌
· 따뜻하고 보살핌이 있는 풍토에서는 각 욕구들이 충족되어 효과적인 학습 유도
댓글
댓글 쓰기